공부한 것 요약본 보기
https://verbena-driver-6fd.notion.site/22fa7134d44980b79471f2e70eb3a92a?source=copy_link
기본숙제
p125 2번
설명에 맞는 레지스터를 보기에서 찾아 빈칸을 채워 보세요.
[보기 : 프로그램 카운터, 명령어 레지스터, 플래그 레지스터, 범용 레지스터]
(1) : 연산 결과 혹은 cpu 상태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2) : 메모리에서 가져올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3) : 데이터와 주소를 모두 저장할 수 있는 레지스터
(4) : 해석할 명령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정답 : (1) - 플래그 레지스터, (2) - 프로그램 카운터, (3) - 범용 레지스터, (4) - 명령어 레지스터
느낀점 : 이게 프로그램 카운터라는 이름이 익숙하지가 않아서 아예 프로그램 카운터 부분만 통째로 외우는게 좋을 것 같다.
p155 4번
다음 그림은 멀티코어 CPU를 간략하게 도식화한 그림입니다. 빈칸에 알맞은 용어를 써 넣으세요.
정답 : 코어
느낀점 : 이거 그림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 지 모르겠다.. 만약 문제에 그림이 있다면 그림 부분만 찍어올릴까? 좋은 생각인 것 같다.
추가 숙제
코어와 스레드, 멀티코어와 멀티스레드의 개념 정리하기
2주차는 챕터 4, 5에 대해서 공부하였다.
1주차에는 3개의 챕터를 하였는데 목차를 보아하니 챕터6부터는 메모리에 대한 챕터이기 때문에 5에서 끊은 것 같았다.
사소한 것이지만 혼공학습단을 진행하는 것에 신경을 써주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흠 그리고 3주차에서는 이 블로그 쓰는 것을 어떻게 해야할지 글의 구조를 좀 정해보면 좋을 것 같다.
이번 주차에서도 원래 얕게나마 알고 있던 내용들을 더 깊게 지식을 넓힐 수 있었다.
특히나 코어나 스레드의 경우 그냥 높으면 좋다는 정도로만 알고 있었고 정확한 작동원리는 몰랐지만 이번에 알게 되었다. 이 코어와 스레드하면 암드와 인텔의 경쟁이 생각나는데 라이젠 초반에 인텔 대비 코어와 스레드가 많다고 홍보했던 것이 기억이 난다.
그리고 CISC와 RISC에 대해서는 완전히 새롭게 배우는 지식이 되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인상 깊은 문제
p110 1번
ALU가 내보낸 결괏값이 101(2)이고 플래그 레지스터에 보낸 정보에 부호 플래그가 1이라면 결괏값을 십진수로 적어라
정답 : -3
느낀점 : 그냥 대충 101이 2진수로 6이니까 거기에 -를 붙여서 -6이라고 적었다.. 하지만 아뿔싸 이건 보수였던 것이었고 그래서 보수를 다시 제대로 되돌린 다음에 음수 처리를 해야 했던 것이다! 따라서
101 -> 1을 다시 뺀다 -> 100 -> 0과 1을 뒤바꾼다 -> 011 -> 십진수로 3 -> 따라서 -3
상당히 뼈아팠지만 이렇게라도 복습을 하게 해주는 좋은 문제였던 것 같다...
'혼공학습단 14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공컴운] 3주차 (5) | 2025.07.20 |
---|---|
[혼공컴운] 혼공학습단 컴퓨터구조+운영체제 1주차 (7) | 2025.07.07 |